울산대학교병원이 최신 인공지능 AI 기반 ‘심정지 예측 프로그램’ 을 도입하여 입원 환자의 안전을 강화했다고 4월 24일 발표했다.
혈압, 맥박, 호흡, 체온 등 환자의 주요 생체 신호를 분석하는 이 프로그램은 심정지 발생 위험을 0에서 100점 사이의 점수로 매겨 의료진에게 제공한다.
울산대병원에 따르면, 이 AI 프로그램은 빅데이터와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심정지 발생 가능성을 미리 예측함으로써, 일반 병동에서도 중증 환자를 선별하고 빠른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김진형 신속대응팀 호흡기내과 교수는 “첨단 시스템의 도입으로 고위험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어, 환자 안전관리와 의료의 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대학교병원은 영남권에서 최초로 신속대응팀을 운영하며 중증환자의 응급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왔으며, 이번 AI 프로그램 도입을 통해 환자 안전 관리를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에디터 메디마스터
유년기 아이들 생선 섭취, 이타적 행동과 협력심에 긍정적 영향 — 오메가-3·요오드, 아동 친사회성에도 긍정적 작용…
대웅제약·고대 안암병원, 정밀의료 협력으로 신약개발 혁신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연구부(연구부원장 박범진)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