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산억제제 남용, 다제내성균 감염 유발 가능성 높아
한림대병원, 위산억제제 와 항생제 병용 시 다제내성균 감염 위험성 규명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승순 교수팀과 생명과학과 김봉수 교수팀의 최근 공동 연구에 따르면, 위산억제제 와 항생제를 함께 사용하면 다제내성균 감염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Gut Microbes’에 게재되었다.
연구팀은 중환자실 환자 282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위산억제제와 항생제를 병용하는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 보균 위험이 2.3배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은 항생제 카바페넴에 내성을 가진 장내세균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항생제에 내성이 있어 치료가 매우 어렵다. CRE 감염은 주로 병원 내에서 발생하며, 폐렴, 요로 감염, 패혈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CRE에 의한 감염은 치료가 어려워 사망률이 높아 전 세계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연구팀은 위산억제제 남용이 다제내성균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하며, 항생제 처방 시 위산억제제 사용에 주의하고 적정 사용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승순 교수는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감염증은 현재 치료제가 제한적이며 균혈증 발생 시 사망률이 높아 전 세계적으로 긴급한 항생제 내성 위협으로 보고되고 있다”며 “이번 연구가 임상에서 위산억제제 남용을 줄여야 하는 근거 자료를 마련했고, 향후 다제내성균 치료 및 저감을 위해 임상적 관리 방안 마련 및 마이크로바이옴 활용법 개발을 수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에디터 메디마스터
[자료제공: 한림대학교의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