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Northwestern University 공동연구팀이 운동 없이도 땀 샘을 자극하여 땀을 유도하고 생체 상태 및 질병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개발, 낭포성 섬유증을 앓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임상 테스트에서 성공을 거두었다고 4월 24일 발표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Biosensors & Bioelectronics」에 게재되었다.
이 디바이스는 전류를 통해 하이드로젤 내 약물을 피부 아래 땀샘으로 전달하여 땀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병원 방문 없이 집에서도 간편하게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 해준다.
연구팀은 땀 속 염소 농도 측정을 통해 이 디바이스의 정확도가 기존 병원 방식과 98% 이상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KIST 김주희 박사와 Northwestern University의 John A. Rogers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땀 기반의 비침습적 질병 모니터링 기술을 크게 발전시켰으며, 임상 연구의 성공을 바탕으로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건강한 성인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환자들에게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이번 기술은, 땀 유도 외에도 국소적 약물 전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논문명 : A skin-interfaced, miniaturized platform for triggered induction, capture and colorimetric multicomponent analysis of microliter volumes of sweat
에디터 메디마스터
유방암 난소암 가족력? 유전자 검사로 대비하세요. 분당차여성병원이 난소암 및 유방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 BRCA(브라카) 유전자…
유년기 아이들 생선 섭취, 이타적 행동과 협력심에 긍정적 영향 — 오메가-3·요오드, 아동 친사회성에도 긍정적 작용…
대웅제약·고대 안암병원, 정밀의료 협력으로 신약개발 혁신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연구부(연구부원장 박범진)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